【충북·세종=청주일보】김흥순 = (1)아무도 믿지 않는 연구기술
(2)내로남불의 전형 -내가 좋으면 믿고 내가 나쁘면 안믿어
(3)언론과 여론조사업체 '스폰 관계' 내지는 공범
(4)귤화위지(橘化爲枳)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로 되듯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집권하면 여론조사 기관 두 군데를 문 닫게 하겠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
선거때 어느때부터 여론조사라는 괴물이 등장했다.
경선과정에 투표전에 여론조사가 진행된다.

이것이 권력이나 인생을 절대적으로 좌우하다 보니 조작과 공작을 의심한다.
여론조사를 놓고 시끄러운 대선은 없는 것 같다. 왜 이번에 유독 잡음이 많은 걸까.

‘심판’이란 조사기관의 반칙 탓인가.
그렇다면 반칙이 왜 이리 성행하는 걸까.
정략적인 의도가 담겨 있기 때문인가?.

사실은 이달 초 한 조사 기관이 문재인-안철수 양자 구도 프레임을 만들어 여론조사를 했다고 할 때부터 꺼림칙했다.

다른 후보들이 완주 의사를 밝히고 지지율 반등에 주력하는 상황에서 두 후보만 본선에 나온다는 가상 구도 아래 여론조사를 한다는 것이 미심쩍었다.

이른바 ‘양강 구도’를 일찌감치 고착화하는 것이 어느 후보에게 유리한 것인지쯤은 웬만한 유권자라면 다 아는 일 아닌가.

의혹을 받는 사례는 이뿐이 아니다.
한 방송과 통신사가 공동 의뢰한 여론조사에서 불거진 샘플링 왜곡 논란이 대표적이다. 같은 기관의 3월 조사에서는 유·무선 전화로 22만여명을 접촉한 뒤 2046명의 응답을 받았는데 4월 조사에선 유·무선 각각 3만명을 접촉해 2011명의 응답을 받았다는 것이다.

결번과 팩스, 사업체 전화 등 여론조사에 쓰일 수 없는 전화 비율이 여론조사마다 30~40% 나오는 게 통례지만 4월 조사에선 8%에 불과하다는 것도 시비를 불렀다. 휴대전화 면접에 쓰인 국번이 3월엔 8000여개에서 60개로 급감한 것도 고개를 갸우뚱하게 했다. 물론 조작 여부는 중앙선거여론조사위원회가 가릴 일이다.

분명한 것은 이런 여론조사로 인해 득을 보는 쪽이 있는가 하면, 손해를 보는 쪽도 있다는 점이다.

유선전화의 조사 비율을 턱없이 높여 눈총을 받는 일도 있다. 무선전화 비율이 85%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1000명을 조사할 때 적어도 850명은 무선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여론조사의 기본이다. ‘샤이 보수층’에 대한 구애를 겨냥한 조사도 문제다.

유력 야당 후보에게 불리한 여론조사를 한 어떤 두 곳은 압수수색을 받았다. 검찰이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고발장을 받아 시행한 첫 압수수색이다. 그중 한 곳의 대표는 현직 여당 국회의원이다.

‘여론조사가 여론을 만든다’는 속설이 있다.
그렇긴 해도 여론조사가 이 정도라면 뭔가 꼼수가 있을 거란 ‘합리적 의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 않고는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 ‘정략’이란 불량물을 교묘한 기술로 포장하다 보니 사달 났다는 소리가 공공연히 나오는 까닭이다.

여론조사가 갖는 한계는 있다.

모든 응답자가 답변을 준비하고 대기하는 것이 아니다. 조사에 응답하는 유권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솔직히 밝혀야 할 의무도 없다. 어느 날 문득 걸려오는 낯선 전화에 대고 솔직한 의견을 밝히라고 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웬만큼 친하지 않으면 친구들끼리도 누굴 지지하는지 말 꺼내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그러나 여론조사가 불신받는 것은 결과물의 정확성 여부를 떠나 조사기관과 조사를 의뢰한 기관이나 단체가 중립적이지 못하다는 방증일 수 있다. 여론조사 기관은 프로 집단이다.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온다’는 것을 모를 리 없다.

여론조사의 난맥상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여론조사로 장난치려는 정치 세력을 없애면 된다. 쉽지 않은 일이다. 그렇다면 선거철마다 생기는 ‘떴다방 여론조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할 일이다. 신고제인 여론조사 업무를 허가제로 바꾸는 길밖에 없다.

저작권자 © 청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