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세종=청주일보】김흥순 = 여성 독립운동가 이애라(李愛羅)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으로 투옥돼 고문 끝에 병을 얻어 풀려났다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28세 젊은 나이로 1921년 9월 4일 사망했다.

사망한 여성독립운동가 이애라는 이애일라(李愛日羅), 이심숙이라고도 한다. 남편 역시 독립운동가 이규갑이다. 시어머니 박안라, 시숙인 이규풍, 이규풍의 아들 이민호, 동서 오사라,이민호의 아들 이길영이 모두 독립유공자며, 아산에 충국순의비가 세워져 있다.

...‘이애라’. 낯선 이름이다. 여성 애국지사 가운데 훈장을 받은 241명 중 한 분이다. 이 분을 다룬 책 제목인 ‘애일라’는 이애라 외에 이애심·이심숙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던 선생의 이름 중 하나로 감리교 세례명인 성녀 헬레나의 애칭 ‘엘라’를 한자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1893년 충청남도 아산 출신으로 경성부에서 자랐다. 이화학당의 중등과를 졸업하고 모교와 고향 부근인 공주의 감리교 계열 학교인 공주영명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

이화학당 교사 재직 중 같은 아산 출신의 프로테스탄트 목사인 이규갑과 20세에 결혼했다. 부부가 모두 독립운동을 했기에 수차례 연행되어 고초를 치를 수밖에 없었다.

3·1 운동의 후속 움직임으로 인천에서 국민대회를 개최할 무렵, 서울 서대문구의 아현동 고개에서 이애라가 아기를 업고 가던 중 일본 경찰과 마주쳤을 때 일경이 이 아기를 집어던져 절명하게 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다.

1919년 3·1 운동 당시에는 평양의 정의여학교 교사로 근무하며 남편과 함께 이 운동에 참여했다가 구금되었다.

이 무렵 이규갑은 전국 대표들이 모여 기미독립선언서 지지를 표명한 인천의 국민대회에 참가하고 한성임시정부를 조직했으며, 이애라는 한남수, 김사국, 홍면희 등과 함께 적극 가담했다. 이규갑은 곧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망명하였다.

국내에 남은 이애라는 1920년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여성들의 모임인 애국부인회에 참여하여 지방의 교회를 순회하며 모금 운동을 했다.

당시 국내 각 지역 및 해외에까지 애국부인회가 조직되었고, 이애라는 애국부인회에서 중심 역할을 하면서 상하이와 연락을 취했다.

1921년 천안의 양대여학교 교사로 있던 중 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던 이규갑 때문에 경찰의 박해가 심해지자, 시숙인 이규풍이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벌이고 있던 러시아로 탈출을 꾀했다. 그러나 함경북도 웅기군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부군이 독립운동가로 활동하던 시베리아로 밀행하다 함경북도에서 체포돼 가혹한 고문을 받고 1921년 9월 4일 순국했다

저작권자 © 청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